본문 바로가기
♡♥♡上善若水우암글

曾子曰, 士不可以不弘矣

by 雲心 2010. 1. 15.

 

 

 

 

 

90/215

曾子曰, 士不可以不弘矣 任重而道遠 仁以爲己任 不亦重乎

증자왈, 사불가이불홍의 임중이도원 인이위지잉 불역중호

死而後已 不亦遠乎

사이후이 불역원호

 

曾子曰 증자가 말하길

士不可以不弘矣 선비란 마음이 넓고 굳세어야만 하므로

任重而道遠 그 소임은 무겁고 길은 멀다.

仁以爲己任 선비는 인으로써 자기의 책임을 삼으니

不亦重乎 무거운 것이 아닌가

死而後已 죽은뒤에야 그 소임을 내려 놓으니

不亦遠乎 또한 멀지 아니한가?

 

선비는 포용력이 넓고 의지가 꿋꿋하여야 하며

맡은바 임무가 무겁기 때문에 그책임또한 막중한 것이다.

이임무는 죽어야 풀수있는것이니 그행로가 얼마나 먼것인가

 

 

91/215

子曰 民 可使由之 不可使知之

자왈 민 가사유지 불가사지지


子曰   공자가 말하길,

可使由之백성을 올바른 이치를 따라 하게할수 있으나,

不可使知之  그이치를 이해시킬수는 없다.


백성을 다스리는데 있어 정부의 방침에 따르게 할 수는 있다.

그러나 백성들이 왜 따르지 않으면 안된다고 그이유까지 알려줄수 없다.

그러므로 위정자는 정당한 이치를 내세워서 백성들을 다스리지 않으면 안됨을 강조한 말이다.


92/215

如有周公之才之美 使驕且吝  其餘  不足觀也已

여유주공지재지미 사교차린   기여 부족관야이


如有周公之才之美  만약주공과 같은 아름다운 지능과 기예를

                             가지고 있다해도

使驕且吝     교만하고 인색하다면

其餘              그 나머지는

不足觀也已     더 볼것이 없다.


아무리 뛰어난 재능을 가졌더라도 교만하고 인색하다면 그 재능은 쓸모 없다는 뜻이다.

 

93/215

三年學 不至於穀 不易得也

삼년학 부지어곡 불이득야


三年學      삼년을 두고 공부하여도

不至於穀   벼슬에 뜻을 두지아니하는 사람은 (곡: 봉급을뜻한다.)

不易得也   쉽게 얻을수가 없다.


3년이나 학문을 연수하고도 벼슬길을 �지 않는 사람이라면 아주

큰인물이거나 아니면 참으로 학문을 좋아하는 학자였을 것이다.



94/215

篤信好學 守死善道 危邦不入  亂邦不居

독신호학 수사선도 위방불입   난방불거

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

천하유도즉현      무도즉은

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邦無道 富且貴焉 恥也

방유도 빈차천언  치야 방무도 부차귀연 치야


篤信好學   굳게 믿고 배우기를 좋아하며,

守死善道   죽음으로 도를 지켜야 한다.

危邦不入   정치적으로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말고,

亂邦不居   어지러운 나라에서는 살지 말라,

天下有道則見  천하가 도가 있으면 나타나서 일하고, 

無道則隱  도가 없으면 숨어라

邦有道   나라에 도가 확립되어 있는데

貧且賤焉   가난하고 비천하다면 

恥也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고

邦無道   도가 없는데도

富且貴焉   부귀를 누린다면

恥也   역시 부끄러워 해야 할 일이다.


정의와 선이 행세하는 시대에는 선량한 사람들이 부귀도 얻어야

하지만 악과 타협하면서 까지 부귀를 탐내지 말라는 뜻이다.

 

95/215

不在其位 不謨基政

부재기위 불모기정

 

不在其位그직위에 있지 않으면

不謨基政그 정사를 논하지 말라

 

기업이나 사회엔 일정한 질서와 법규가 있기 마련이다.

쓸데 없는 간섭을 해서 질서를 문란하게 해서는 안된다는말이다

 


 

'♡♥♡上善若水우암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顔淵 渭然歎曰   (0) 2010.02.01
學如不及 猶恐失之  (0) 2010.01.18
君子 篤於親則   (0) 2010.01.12
飯疏食飮水  (0) 2010.01.06
何爲基然也  (0) 2010.01.04